Back-end

[git] .gitignore 사용법, gitignore 적용하기

서채리 2023. 1. 18. 18:40

 

1. .gitignore란? 

민감한 정보가 들어있는 파일이나 형상관리할 필요가 없는 파일들은 git에서 더이상 추적(track)하지 않도록 .gitignore 파일에 추가한다.
- .gitignore 파일은 프로젝트 디렉토리 최상단에 위치하게 한다.


2. .gitignore 사용법 

1) 작성패턴

- #로 시작하는 라인은 주석, 무시한다.
- 표준 glob 패턴을 따른다.
- 디렉토리는 끝에 슬래시(/)를 사용해 표현한다.
- 느낌표(!)로 시작하는 경우는 예외로 처리한다.

# : comments

# 특정 확장자를 가진 모든 파일 무시
*.txt

# 예외인 경우
!lib.a

# 현재 경로에 있는 fileName 무시
/fileName.txt

# 특정 디렉토리의 모든 파일 무시
build/

# 특정 디렉토리의 특정 파일 무시
build/fileName.txt

# 특정 경로 안에 있는 모든 fileName 무시
doc/*.txt

# 특정 디렉토리의 모든 .pdf 파일 무시
doc/**/*.pdf

 

2) gitignore 편하게 작성하는 템플릿

각 개발환경별로 gitignore파일을 생성할때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사이트

https://www.toptal.com/developers/gitignore

 

gitignore.io

Create useful .gitignore files for your project

www.toptal.com

위 사이트에 접속하여 운영체제, 개발환경(IDE), 프로그래밍 언어를 검색하면,

해당하는 gitignore 파일을 얻을 수 있다. 

 

3. 적용 방법

무시할 파일들과 디렉토리들을 적고 git commit, push 해주면 적용된다.

 

❗️ gitignore 적용이 안될 경우

git의 캐시 문제기 때문에 git에 올라가있는 캐시파일을 지우고 다시 add 해준다.

git rm -r --cached .
git add .
git commit -m "Apply .gitignore"

위 명령어를 터미널에 작성해주면 Local에서는 사라지지 않았지만

Remote에 Push 될 때에는 올바르게 적용되어 올라간 것을 볼 수 있다.